장고 폼으로 작업하다 보면 Select 필드로 변환되는 필드는 기본으로 Empty 필드가 있다. "----------" 이런 문자열이 제일 위에 등장한다. 머 나름 선택하지 않았다는 표시이니깐 괜찮지만 없애고 싶다면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빈 필드가 나타나는 형태는 아래 그림과 같다. -------- 이런 문자열이 제일 위에 있어 거슬리거나 무조건 하나의 값을 선택된 형태로 되면 좋겠다면 제거해야 한다. 다행이도 이를 제거하는 옵션이 있다. ForeignKey 등 릴레이션 모델이 들어가는 ModelChoiceField 의 경우 self.fields['sub'].empty_label = None empty_label 이라는 것을 None 으로 해 주면 된다. 그리고, 일단 기본 default 값을 주게 되..
렌더링의 마지막 기법으로 SSG 정적 사이트 생성기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자. 이 부분은 머 지킬이니 강의에서 언급되는 Gastby 등 여러가지 정적 사이트 생성기 엔진을 알고 있어 어려운 개념은 아니다. 아주 익숙한다. 빌드 당시에 페이지를 만들어 아예 정적 html 페이지 결과를 그냥 올려두고 가져가는 형태이니 Runtime 이라기 보다는 Compile time 빌드라고 생각하면 쉽다. 강의 노트 겸 판서 결과 스샷은 아래를 참고하고, CDN 서비스 등에는 이 방법이 가장 최적화된 방법으로 생각된다. 물론 실행시에 먼가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변경해야 한다면 이 방식은 사용할 수 없다. 특정 고정된 콘텐츠의 경우에는 이 방법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일 것이다. Gastby 말고 SSR에서 언급한 Next.JS..
크롬 기준의 브라우저 렌더링 101 강의는 fastcampus 의 동영상 강의의 화면을 일부 캡쳐해서 정리해둔다. 전체적인 개요 같은 내용이다. 먼저 모르는 용어 Render Tree DOM 과 CSS 가 적용된 결과물 정도로 이해하고 넘어간다. 이 Render Tree 가 표현되기 위해 (렌더링을 위해), 아래와 같은 3단계의 일이 벌어진다고 알면 된다. 1. Layout 2. Paint 3. Render 라는 과정이 있다는 것을 기억하라는 강사분의 말씀. Layout 부분이 다시 불리게 되면 좀 느려질 가능성이 있으니 피해서 설계하는 것이 좋다. 대충 이해한 바로 써보면, (틀릴수도 있다.) 예제로는 애니메이션을 구현할 때 Position 을 변경할 수 있는데 이 부분은 layout을 변경하는 기술이..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